충주는 찬란한 중원문화의 중심지로서 고대부터 통일신라에 이르기까지 우리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각축을 벌였던 곳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 중심고을 충주의 지명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볼까요? 지금으로부터 1640여년 전,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이 백제를 몰아내고 충주지역 일원을 차지하게 됩니다. 충주를 지배하게 된 고구려는 충주를 '국원성(國原城)'이라고 불렀어요. 국원이라는 말은 '나라의 근원이 되는 땅'또는'나라의처음,본디가 되는 땅'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고구려가 충주를 지배한 기간은 550년경 신라의 진흥왕에 의해 완전히 복속되기까지 약 150여년 정도인데요,고구려는 이 기간 동안 고구려 영토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가금며 지역에 충주 고구려비를 세우기도 했죠. 고구려 뒤를 이어 충주를 지배하게 된 신라는 충주를 '국원소경'으로 승격시키고, 귀족의 자제와 6부의 부유한 백성들을 이 곳에 살게 하였습니다. 그러다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이르자 이름을'중원경(中原京)'이라 바꾸었어요.중원이라는 말은 '나라의 가운데'또는'중앙에 있는 넓은 들판'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충주는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후 태조 23년(94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충주는'충주(忠州)'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어요. 충주라는 이름은 이 곳의 인사들이 태조 왕건의 편에 서서 고려를 건국하고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변함없는 충성을 바치고 큰 공헌을 세운 것을 기리는 의미로 특별히 내린 명칭이라고 합니다.
|